본문 바로가기

등기부등본 보는 법과 열람 방법, 부동산 계약 전 필수 확인사항

sky-1004 2025. 3. 24.
반응형

서울에서 자취하는 아들이 새로운 원룸을 구하면서 저에게 물었어요. "엄마, 등기부등본은 계약할 때 보면 돼?" 일반적으로는 부동산에서 다 해주기 때문에 특별히 미리 열람을 하지 않지만, 등기부등본을 미리 보고 '걸러낼 집'을 선정하면 시간도 아끼고 사기 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등기부등본 보는 법과 열람 및 발급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등기부등본이란?

 

등기부등본은 해당 부동산의 법적 상태를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누가 소유자인지, 대출이나 근저당이 잡혀 있는지, 가압류, 경매 등의 문제는 없는지 세세하게 확인이 가능하죠. 등기부등본을 보면,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한 원룸도 사실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등기부등본 열람하기, 등기부 등본 보는 법
등기부등본 예시

 

등기부등본 미리 보면 이런 점이 좋아요

상황  미확인시 확인 후 
집이 마음에 들어 계약했는데 나중에 근저당 있음 보증금 위험! 처음부터 제외 가능
부동산 5군데 다 돌아보느라 하루 종일 고생 효율적 동선으로 2곳만 방문  
월세 저렴한데 이유는 모름 가압류나 소유권 분쟁 있는 집 피할 수 있음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나요?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온라인 열람&발급 가능 

등기부등본 열람하기, 등기부 등본 보는 법
등기부등본 열람, 발급하기

 

 

 

등기부등본 열람은 700원, 발급은 1,0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결제는 카드, 휴대폰, 이체 모두 가능합니다.  등기부등본은 공개된 정보이기 때문에 누구든지 열람할 수 있어 부동산 계약을 하기 전 미리 열람하거나 발급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등기부등본은 어떻게 보나요?

구분  의미 꼭 확인할 포인트
표제부 건물의 주소, 구조, 면적 등 주소 오류여부, 전용면적 등
갑구 소유권 관련(소유자, 가압류, 경매 등) 소유자가 일치하는지, 권리문제 있는지
을구 저당권, 전세권, 근저당 등  은행 대출이 잡혀잇는지, 전세보증금 위험여부 

 

우선 등기부등본을 보면 빨간색으로 줄이 그어진 부분이 보일 수 있어요. 이거는 주소가 바뀌거나 소유주, 대출 등이 바뀌면서 사라진 권리 또는 말소된 권리이기 때문에 신경 쓰지 않고 보셔도 됩니다. 

 

표제부에는 부동산의 소재지와 그 현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등기부등본 열람하기, 등기부 등본 보는 법

 

 

갑구는 소유권 및 소유권 관련 권리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기부등본 열람하기, 등기부 등본 보는 법

을구는 소유권 이외의 권리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기부등본 열람하기

 

부모와 자녀가 함께 보면 좋은 팁

  • 집을 알아보는 1~2일 전, 등기부등본 먼저 확인
  • 부동산 5군데 대신 정상 등기 확인된 2곳만 방문
  • 소유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절대 계약 NO!

원룸 계약 주의사항, 사회 초년생이 알아야 할 원룸 월세 계약 체크리스트

 

원룸 계약 주의사항, 사회 초년생이 알아야 할 원룸 월세 계약 체크리스트

얼마 전, 서울에서 혼자 자취 중인 대학생 아들이 두 번째 원룸 계약을 하게 됐어요. 첫 집이 계약 만료가 되어 이사를 하게 됐는데, 계약서도 제대로 안 읽고 도장 찍고 계약금을 송금하려고 하

sky-1004.com

 

월세 계약금 날리고 후회하지 않으려면? 꼭 알아야 할 계약금, 위약금 규정

 

월세 계약금 날리고 후회하지 않으려면? 꼭 알아야 할 계약금, 위약금 규정

자취 2년 차가 된 대학생 아들이 서울에서 이사를 준비하면서 월세 계약금으로 50만 원을 날릴 뻔한 상황이 있었어요. 이 일을 계기로 부모의 입장에서 '이건 꼭 알려줘야겠다' 싶은 마음으로 이

sky-1004.com

 

등기부등본은 집의 주민등록등본

아들도 이번 일을 계기로 "외관이 다가 아니라 법적인 상태를 먼저 체크하는게 중요하구나"라는 사실을 알았다고 얘기하네요. 부동산 사기 예방를 예방하면서 시간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집을 구하기 위해서는 등기부등본을 미리 열람하기를 추천드려요. 

반응형

댓글